티스토리 뷰
🌡️ 장티푸스, 열흘 넘게 고생한 내 경험담 (feat. 발열 39.8℃)
2024년 여름, 나는 동남아 여행 중 장티푸스에 걸려 무려 11일간 고열과 복통에 시달렸다. 병원에서 받은 첫 진단이 “발열성 장염”이었고, 그 이후 혈액 배양검사를 통해 ‘Salmonella Typhi’ 양성 판정. 그 고통과 치료 과정을 공유하며, 장티푸스에 대해 제대로 알아보자.

📊 장티푸스 주요 정보 및 통계 (질병청 2023 기준)
항목 | 내용 |
---|---|
감염 원인 | Salmonella Typhi (세균) |
감염 경로 | 오염된 음식물, 수돗물 |
잠복기 | 7~14일 |
국내 연간 환자 수 | 약 60명 (2023년 기준) |
치명률 | 미치료 시 최대 20%, 치료 시 1% 이하 |
🧪 자가 진단 체크리스트 (해당 항목 3개 이상이면 의심!)
- 3일 이상 지속되는 38.5℃ 이상의 고열
- 심한 두통 및 복통
- 식욕 저하와 설사 또는 변비 반복
- 기침 없이 발열만 계속됨
- 장기 여행 후 증상 시작됨
🩺 치료 방법 및 회복 경험
- 항생제 복용: 대표적으로 Ciprofloxacin, Azithromycin 사용. 내 경우는 Ceftriaxone 주사 치료를 5일간 받음
- 수분 섭취: 하루 2L 이상 이온음료 섭취 권장
- 저지방 식단 유지: 장 점막 자극 최소화를 위해 죽과 미음 섭취
- 격리: 전염 우려 있어 회복 전까지 타인과 식사 공유 금지
🧑⚕️ 전문가 Q&A: 일상에서 장티푸스를 어떻게 피할 수 있나요?
- Q1. 장티푸스는 일상생활에서 얼마나 위험한가요?
- 장티푸스는 일반적인 환경에선 드물지만, 해외 여행이나 위생이 나쁜 환경에서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. 예방접종이 권장되며, 여행 전 예방접종률은 아직 30% 이하로 낮은 편입니다.
- Q2. 외식할 때 주의할 점이 있다면요?
- 생수 사용 여부, 손 씻기, 고기나 해산물의 익힘 상태를 꼭 확인하세요. 특히 여름철에는 찬 음식 섭취 전 2시간 이상 상온 보관 여부를 확인하는 게 좋습니다.
- Q3. 자녀가 장티푸스에 걸렸을 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요?
- 즉시 병원 진단 후 항생제 처방을 받으시고, 가족 내 다른 구성원의 감염도 의심되면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. 어린이는 수분 손실이 빠르기 때문에 탈수 방지에 특히 신경 써야 합니다.
📌 결론: 장티푸스, 남의 일이 아닙니다
단순한 배탈이라 여기고 지나치기엔 장티푸스는 고열과 합병증으로 일상에 큰 타격을 줍니다. 예방접종은 물론, 해외 음식 섭취 시 위생 확인은 필수입니다. 저처럼 고생하지 않도록, 미리 대비하고 현명하게 건강을 챙기세요!
'실생활 팁(tiP) !!!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홍역, 한 번 걸리면 끝? 아니, 시작이었다 (1) | 2025.04.15 |
---|---|
외계인은 존재할까? UFO는 정말 지구에 왔을까? - 숫자와 과학으로 푸는 5가지 궁금증 (0) | 2025.04.14 |
숨이 턱 막히던 어느 날, 내가 알게 된 천식 이야기: 자가진단과 3단계 개선법 (0) | 2025.04.13 |
간염, 종류가 이렇게 많다고? 증상과 대처법 8253 (0) | 2025.04.12 |
홍역, 이게 뭐야? 얼마나 무서운 거야? | 일상 속 질문과 진짜 경험담 (2) | 2025.04.11 |